엘리스에서 제공한 강의와 자료를 보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경우의 수
사건은 같은 조건에서 여러 번 할 수 있는 실험이나 관찰로 얻어진 결과를 의미한다.
경우의 수는 사건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경우의 가짓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주사위를 던졌을 때 1, 2, 3, 4, 5, 6의 결과가 나올 수 있으니 이때의 경우의 수는 6이다.
✔️ 합의 법칙
사건 A 또는 B가 일어나는 경우 전체 경우의 수는 두 사건의 경우의 수를 더한 값이 된다.
사건 A의 경우의 수가 a이고 사건 B의 경우의 수가 b라면 사건 A 또는 B가 일어날 경우의 수는 a + b이다.
이렇듯 합의 법칙은 각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지 않을 때 사용한다.
✔️ 곱의 법칙
사건 A와 B가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 전체 경우의 수는 두 사건의 경우의 수를 곱한 값이 된다.
사건 A의 경우의 수가 a이고 사건 B의 경우의 수가 b라면 사건 A와 B가 동시에 일어날 경우의 수는 a x b이다.
곱의 법칙은 합의 법칙과 달리 사건이 동시에 일어나는 경우에 사용한다.
이때 "동시"라는 것은 같은 시각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경우의 수를 구하는 과정에서 두 사건 모두 일어나야 한다는 뜻이다.
✅ 순열
순열(Permutation)은 어떤 것을 나열할 때 몇 가지의 경우의 수가 있는지 계산하는 법을 의미한다.
이름 그대로 순서대로 뽑아서 줄 세우는 것과 같다.
순열은 P로 표기하며 n개 중 r개를 뽑아서 줄 세우는 것을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이를 해석하자면,
- 첫 번째로 뽑을 때는 n개 중 하나를 뽑을 수 있다.
- 두 번째로 뽑을 때는 1. 에서 뽑은 것을 제외한 n-1개 중에서 하나를 뽑을 수 있다.
- 세 번째로 뽑을 때는 1. 과 2. 에서 뽑은 것을 제외한 n-2개 중에서 하나를 뽑을 수 있다.
- r 번째로 뽑을 때는 1.과 2. 3. ... (r-1). 에서 뽑은 것을 제외한 n-(r-1)개 중에서 하나를 뽑을 수 있다.
✔️ 같은 원소가 있을 경우
나열하려는 것 중 같은 원소가 있을 때는 구별되지 않아 순서를 매길 수 없다.
따라서 각 원소 a1, a2, a3, ... , an에 대해 갯수가 p1, p2, p3, ..., pn이 있을 때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 조합
조합(Combination)은 순서에 상관없이 n개 중 r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의미한다.
순열과의 차이점은 순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조합은 C로 표기하며 n개 중 r개를 뽑는 경우의 수를 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조합은 다음과 같이 나타내기도 한다.
🔍 참조
경우의 수 https://mathbang.net/109
'엘리스 AI 트랙 4기 > Data Analysis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공지능/머신러닝 기초] 선형대수 기초 (0) | 2022.02.12 |
---|---|
[프로그래밍수학] 확률 (0) | 2022.02.10 |
[프로그래밍수학] 수열 (0) | 2022.02.10 |
[프로그래밍수학] 소수 (0) | 2022.02.10 |
머신러닝 종류와 머신러닝 관점 모델 평가 (0) | 2022.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