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 문제
왕비를 피해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던 백설공주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난쟁이가 일곱 명이 아닌 아홉 명이었던 것이다.
아홉 명의 난쟁이는 모두 자신이 "백설 공주와 일곱 난쟁이"의 주인공이라고 주장했다. 뛰어난 수학적 직관력을 가지고 있던 백설공주는, 다행스럽게도 일곱 난쟁이의 키의 합이 100이 됨을 기억해 냈다.
아홉 난쟁이의 키가 주어졌을 때, 백설공주를 도와 일곱 난쟁이를 찾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 입력
아홉 개의 줄에 걸쳐 난쟁이들의 키가 주어진다. 주어지는 키는 100을 넘지 않는 자연수이며, 아홉 난쟁이의 키는 모두 다르며, 가능한 정답이 여러 가지인 경우에는 아무거나 출력한다.
(문제 풀이에서는 별다른 입력 데이터 처리 없이 그냥 인자로 넘겨준다.)
👈 출력
입력된 순서대로 일곱 난쟁이의 키를 출력한다.
💡 사용된 개념
splice()
배열의 기존 요소를 삭제 또는 교체하거나 새 요소를 추가하여 배열의 내용을 변경한다.
array.splice( start, deleteCount, item1, item2, ... )
- start : 배열의 변경을 시작할 인덱스. 배열의 길이보다 큰 값이면 배열의 길이로 설정됨. 음수인 경우 배열에 끝에서 시작.
- deleteCount : 배열에서 제거할 요소의 수
- item1, item2, ... : 배열에 추가할 요소들
만약 array.splice(i, 1)이라면 i번째 인덱스에서 한 개의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므로 i번째 요소를 제거하는 것과 동일하다.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JavaScript/Reference/Global_Objects/Array/splice
Array.prototype.splice() - JavaScript | MDN
splice() 메서드는 배열의 기존 요소를 삭제 또는 교체하거나 새 요소를 추가하여 배열의 내용을 변경합니다.
developer.mozilla.org
📝 풀이
<script>
function solution(arr) {
let answer = arr;
let sum = arr.reduce((a, b) => a + b);
for (let i = 0; i < arr.length - 1; i++) {
for (let j = i + 1; j < arr.length; j++) {
if (sum - (answer[i] + answer[j]) === 100) {
answer.splice(j, 1);
answer.splice(i, 1);
return answer;
}
}
}
}
let arr = [20, 7, 23, 19, 10, 15, 25, 8, 13];
console.log(solution(arr));
</script>
시작하기 전 주어진 배열의 총합을 구해 sum이라는 변수에 저장해둔다.
이중 for문을 돌며 아홉 난쟁이들의 가능한 모든 키 조합을 구한다.
이때 전체 키의 합에서 가짜 난쟁이 둘의 키 합을 빼면 100이 되므로 이 조건에 걸리면 해당하는 조합의 난쟁이 둘이 가짜임을 알 수 있다.
조건에 걸리는 i번째와 j번째 인덱스의 요소를 answer 배열에서 지워준 후 answer를 출력한다.
+) 백준의 2309번 문제와 동일하다. (아래는 node.js 버전 풀이)
https://cansweep.tistory.com/182
[2309번] 일곱 난쟁이
문제 링크 >> https://www.acmicpc.net/problem/2309 📋 문제 왕비를 피해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평화롭게 생활하고 있던 백설공주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일과를 마치고 돌아온 난쟁이가 일곱 명이 아닌
cansweep.tistory.com
'Algorithm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basics] 문자 찾기 (0) | 2021.12.05 |
---|---|
[basics] A를 #으로 (0) | 2021.12.05 |
[basics] 10부제 (0) | 2021.12.05 |
[basics] 홀수 합과 최솟값 (0) | 2021.12.05 |
[basics] 최솟값 구하기 (0) | 2021.12.05 |
댓글